react-native로 앱을 만들고 등록하는 과정중의 에러나 힘들었던 사항들을 정리하였습니다.
npm install --save
: node_modules directory생성
(후에 pod에서 node_modules안의 파일을 건드리기 때문에 sudo는 쓰지말도록 합니다.)react-native link
: node.js패키지를 react-native에서 쓰기 위해 native code상의 필요한 부분에 코드를 주입시켜줍니다. link 명령어를 지원하지 않거나 manual한 link방법을 추천하는 패키지도 존재하므로 패키지 별로 문서를 한번 씩 읽어보는 것도 좋습니다.(현재 사용하는 패키지에서는 다 link사용 가능)cd ios
&pod install
: node.js package를 바로 ios에서 쓰기 위해서는 패키지 관리자를 사용하여야 하는데 이것이 pod입니다. package.json=Podfile, package-lock.jso=Podfile.lock, node_modules=Pods입니다.
(Pod와 관련해서 에러가 난다면 Podfile.lock, Pods를 삭제 후, pod install
을 합니다.)cd node_modules/react-native/third-party/glog-0.3.4
./configure
make
&make install
소스파일로 된 패키지를 설치하실 때 기본적으로 내리는 3가지 명령어가 있는데 그것이 바로 configure, make, make install 입니다.
여기서 소스파일이란 것은 설치파일에 대한 소스 파일입니다. 그러므로 컴파일을 하고나면 설치파일이 생기는 것이죠. 그리고 위의 세가지 명령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죠.
configure 는 환경설정을 해주는 명령어입니다. 컴파일을 할 때 어떤 옵션을 넣거나 할 때 configure 뒤에 옵션을 넣어줍니다. 여기에 어떤 옵션이 정확히 들어간다고 말씀드릴 수 있는 것은 아니고 소스를 제작한 자가 readme 파일 등에 명시되어 있습니다.
make 는 소스를 컴파일 하는 것입니다. 컴파일이란 것은 소스파일을 사용자가 실행 가능한 파일로 만들어 주는 과정을 말합니다. make 과정이 끝나고 나면 설치파일이 생성된 상태라고 볼 수 있습니다.
make install 은 설치를 하는 과정입니다. 앞 과정에서 생성된 설치파일을 실행해서 설치를 끝내는 과정입니다.
ucontext_t *context = reinterpret_cast<ucontext_t *>(ucontext_in_void);
return (void*)context->PC_FROM_UCONTEXT; // <---- build error here
를 return NULL;
로 code를 직접 수정해줍니다.